합격자 발표를 하는 날
그동안의 경험상 아침부터 유난히 바쁘면 그 시험은 불합격 하더라.
오늘도 아침부터 바빴다. 김상무를 픽업하러 안 몰던 차를 몰고 같이 출근, 사무실에 와서도 곧바로 손님 맞는다고 자리에 앉아 있을 시간도 없었다.
결과는
역시나 불합격
점수가 고만고만한 50점대
네 번째 토목시공기술사에 도전하는데도 여전히 이 점수대를 못 벗어난다.
공부량이 부족해서 답안작성에 한계점이 왔다는 뜻이다.
공단 홈페이지가 개편되면서 문항별 세부점수에 횡스크롤이 생기는 바람에 보기가 살짝 불편해졌다.
난 답안을 적을 때, 필요한 문항을 다 채운다. 몰라도 적는다. (어떻게?)
그래서 점수가 크게 두 가지로 대별된다. (모르는 문제를 적었을 때 점수와 아는 문제를 적었을 때의 점수)
이번 135회 시험에서
모르는 문제의 정답률은 33~47%, 아는 문제의 정답률은 52~64% 이다.
즉, 잘 모르는 문제를 통해 받은 점수는 10점 만점에 3.3점 (최하점수)
아는 문제를 통해 받은 점수는 10점 만점에 6.4점 (최고점수)
이런 분포를 보이니 이런 얄팍한 생각이 들게 된다.
정답률을 6% 올리면 합격이다. (어떻게?)
토목시공기술사 관련 카페나 단체톡방에서는 여러 문제들이 매일 공유되고
서로의 답안에 대해서 조언을 아낌없이 해준다.
즉, 보이지 않는 모범답안을 서로가 알음알음 만들어간다는 것이다.
그 모범답안을 보면, 내가 쓴 답안과 확연히 다르다.
일목요연 하게 서론, 본론, 문제점, 해결방안이 답안지에 녹아있다.
그리고 대제목으로 위의 내용을 보기 좋게 구성해 놨다.
글의 내용을 이해하기 쉽도록 그림과 도표가 적절히 묘사되어 있다.
정답률을 6% 올리기는 일목요연한 대제목으로 그림과 도표가 잘 배치된 답안 작성이 관건이다.
(그래서 어떻게 할거냐고?)
모범답안(?)을 필사하며 답안흐름과 구성을 익혀야겠다.
그리고 반복
(이건 너무 당연한거 아니가? 이걸 몰라서 그동안 계속 불합격했던거가?)
나만의 방식으로 하면 합격할 거라는 쓸데없는 고집 때문인듯 하다.
오늘 합격자 발표가 있는 날
난 여전히 사무실에서 보고서 4장을 작성중 이지만
다음 시험엔 합격할 수 있는 키(희망고문?)를 찾은 듯 해서 살짝 입꼬리가 올라간다.
:)
여러분의 수험생활을 응원합니다.
'토목시공기술사 > 1. 필기시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목시공 135회(2025.02.08) (0) | 2025.03.09 |
---|---|
토목시공 134회 발표(2024.09.04) (0) | 2025.03.09 |
토목시공 134회(2024.07.27) (0) | 2025.03.09 |
토목시공 133회 발표(2024.06.19) (0) | 2025.03.09 |
토목시공 133회(2024.05.18) (0) | 2025.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