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목구조기술사에 도전한다고 제대로 공부한지 10개월
(2010년도에 시작했지만 기본서 정리에 대부분 시간을 보내고 시작-중단, 시작-중단을 계속 반복했다.)
나름의 다짐을 실천하고 공부시간을 측정할 목적으로 '스터디헬퍼'라는 앱을 설치했다.
나랑 비슷한 수험생이 있나 싶어 검색을 해봐도 '토목구조기술사'라는 스터디그룹은 없다.
그래서 내가 만든 방이 '토목기술사' 스터디그룹이다.
이 스터디그룹에 어떤 한분이 들어오더니...통 공부시간이 기록되지 않는다.
그러고서 토목시공기술사를 준비하시는 분이 두 분 들어오고
토질 및 기초기술사를 준비하시는 분도 한 분 들어오셨다.
이어서 토목구조기술사를 준비하시는 분이 한분 들어오셨는데
처음 들어오신 분을 제외하고 모두들 공부에 아주 열심이다.
처음에 들어오셨던 공부시간 기록이 없는 분을 강퇴시켰다.
(아마 작심삼일의 초딩이나 중딩이었을거란 추측)
면학분위기에 도통 방해만 될 뿐이란 생각이었다.
이후에 토목구조기술사를 준비하시는 분이 두 분 더 들어오셔서
현재는 토목구조4, 토목시공2, 토질및기초1
총 7명이서 그룹을 이뤄 공부를 하고 있다.
2018.3.6 을 시작으로
이석순님의 매트릭스 노트를 처음부터 끝까지 두 번을 봤다. (거의 필사를 하고)
지금은 철근콘크리트 기본서를 요약정리하고 있다.
공부시간 측정에 관해서
하루에 3시간씩 주5일을 공부하고 토요일은 5시간을 공부하면 주20시간을 공부하게 된다.
이렇게 1년(52주) 동안 공부하게 되면 1,040시간이 된다.
기술사 공부에 절대시간은 없겠지만. 경험자들은 2,000~4,000시간 정도라고 말하고 있다.
이 말을 바탕으로 2년을 공부하게 되면 2,080시간...경험자들이 말하는 절대시간(?)에 근접하게 된다.
공부시간을 측정하기 시작해서 약 200시간이 되었을 무렵인 8월에 두번째 기술사시험을 보게 되었다.
첫시험을 거의 백지상태에서 보게 되었던 때와 다르게 확연히 올라간 점수에 나조차도 놀랐다.
(확연히 올라간 점수라 하더라도 합격에는 아직도 갈 길이 먼...그런 점수다.)
앞으로 1,000시간을 공부하고서 세번째 시험을 보게될 예정이다. (2019.8.10)
원하는 것은 합격이지만 아직 그런 경지에 오르지는 못했다.
점수는 50점대에 도달하는 것을 목표로 기본서와 아이템노트를 정리할 생각이다.
스터디헬퍼에 오늘의 명언이 스마트폰에 매일 나타난다.
그중 눈길을 끄는 명언이 생각난다.
생각을 조심해라. 말이 된다.
말을 조심해라. 행동이 된다.
행동을 조심해라. 습관이 된다.
습관을 조심해라. 운명이 된다.
우리는 생각하는 대로 된다. -마가렛 대처-
나의 생각은 나의 운명이 된다는 말에 소름이 돋았다.
나의 생각은 나의 운명(미래)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