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목구조기술사 수험에 필요한 교재와 설계기준을 쓰면서

아직도 부족하다는 생각이 들어서 몇 가지 덧붙이고자 글을 씁니다.

시험 문제로 매뉴얼에 관한 사항을 물어보는게 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공항 활주로에 관한 문제와 출렁다리에 관한 문제가 출제된 134회의 경우입니다.

 

설계 매뉴얼과 가이드라인을 보지 않으면 해당 문제에 뭘 하나 쓸 수가 없습니다.

기술사 시험에서 해당 사항을 봤느냐?    못 봤냐? 는 엄청난 차이가 있습니다.

한 번이라도 보시거나 실무에서 경험하거나, 지인에게 듣기만 했던 내용이라도

문제로 출제되면 쓸 말이 생깁니다.

못 봤거나 들어본 적도 없다면 아무 것도 적을게 없습니다.

어차피 점수 못받을텐데, 적어서 뭐하나 그냥 다른 문제 골라서 적어야겠다...라고 생각하신다면 그렇게 하셔도 됩니다.

하지만, 1점 또는 0.1점 차이로 불합격하신 경험이 있으시면 절대 그렇게 못하실거에요.

기본서와 설계기준만 보더라도 공부해야 할 분량이 많은데, 여기에 매뉴얼과 가이드라인

그리고 노란색으로 보이는 '시방서'까지 합세하게 됩니다.

저는 107회 시험 부터 131회 까지(중간에 3년 공백) 필기시험을 경험하면서 이러한 설계기준과 매뉴얼 등이 다양하게 출제되는 것을 지켜 봐 왔었습니다.

출제비중이 크진 않지만 무시하고 넘기기엔 매번 보게 되면서 아쉬움이 남습니다.

그렇다고 다 알 수도 없습니다.

여기가 끝이 아닙니다.

VE, LCC, BIM, DFS(설계안전성검토), 중대재해처벌에 관한 법령 등을 묻는 문제도 곁들여 집니다.

교량의 역사는 붕괴의 역사라고 했지요. 각종 사고 사례와 접목되는 시사가 출제됩니다.

가끔 블로그나 티스토리 또는 카페 활동을 하다보면 기출문제를 각 분야별로 정리하셔서 공유해 주시는

고마운 분들이 계십니다.

그 분들의 자료를 보셔도 제가 기록했던 내용들이 그냥 허투로 나온게 아닌 것을 아실거에요.

토목구조기술사는 구조물의 안전을 책임지는 사람입니다. 알아야 할게 많습니다.

엑셀로 출제 회차별로 정리하다가 보기가 불편해서 간략하게 보려고 정리해둔 표입니다.

(크게 도움 안되실거에요. 뻔한 내용이니까요.)

토목구조기술사 교재에 관한 내용은 여기서 마무리 해야겠습니다.

 

한 가지 유념 하실 부분은 너무 계산에만 매달리지 마시라고 당부 드릴 부분입니다.

역학계산 잘하믄 합격하겠지. 라는 생각하시면서 기술사에 응시하시는 분은 안계시겠죠.

출제 빈도를 보면 논술문제의 비중이 상당히 큽니다.

이 점 유념해서 배분 잘하셔야 합니다.

여러분의 수험 생활을 응원합니다.

+ Recent posts